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회전에 필요한 최소 rpm이 높은 팬이 있는데 이런 팬은 바이오스의 낮은 rpm 설정에서 돌지 않는다. 높은 rpm과 무관/ 보기에 좋지 않지만 팬수명에 더 효율적이고 눈으로 쉽게 컴퓨터 온도 확인

본문

728x90
반응형

 

 

이런 특징은 시스템 팬이라고 하여 4핀 팬이 여기저기 제조사에서 많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발생했다. 3핀 팬이든, 4핀 팬이든, 바이오스 설정에서 500rpm만 되어도 회전을 한다. 느리게 회전을 한다. 이것은 99%의 팬이 그렇다. 팬을 구입 할 때, 박스에 적혀 있는 (혹은 제품 상세설명에 적혀 있는) 최소 rpm과는 별 관계가 없다. 

 

rc100타워쿨러를 보면 최소 rpm이 700이라고 표기 되어 있는데, 이 보다 낮은 rpm으로도 회전한다. 최소 rpm이란 것은 의미가 없다. 전압으로만 조절 되는 3핀/2핀 팬은 더욱 더 그렇다. 낮은 전류/전압이 들어 갈수록 느리게 도는 것은 당연하다. 컴퓨터에 사용 되는 팬들은 12v인데 5v에 연결하면 속도 50%로 회전한다. 

 

220v 백열등을 12v에 연결해 보면 아주 희미하게 켜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팬도 낮은 전압만큼, 낮은 전류량만큼 팬이 천천히 도는 것이다. 최대 rpm만 의미가 있다. 헌데 다양한 팬이 나오면서 팬이 돌기 위한 최소 rpm이 높은 특이한 팬들이 등장했다. 이것은 제조사에서 의도해서 이런 것이 아니라 그냥 그 팬의 특성이 그러하다. 팬 뒷면의 전류량을 봐도 전류량이 딱히 다른 팬보다 높지도 않다. 

 

왼쪽 모델이 팬이 회전하기 위한 최소rpm이 높게 만들어진 alseye팬

 

alseye에서 나온 4핀 팬이 아주 특징적이다. 4핀이기에 pwm을 지원을 한다. 당연히 전압으로 조절이 된다. 이 팬은 최대 rpm이 2500으로 높다. 최대 rpm일 때는 거의 선풍기 소리가 난다. 헌데 필요로 하는 최소 rpm이 상당히 높다. 거의 1000rpm으로 설정이 되어야지만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

 

 

 

바이오스에서 1000을 줘도 안 도는 거 보니
팬에 문제가 있어서 설정되는 rpm의 
50%~70% 밖에 안 돌기 때문에 
설정이 1000은 되어야지만 도는 것 아냐?

 

 

아니다. 회전하기 위한 최소 rpm은 1000정도로 아주 높지만, 회전하기 시작하면 바이오스에서 설정하는 rpm과 동일하게 돈다. 회전한 이후로는 1500이 설정 되면 1500으로 돌고 2000으로 설정되면 굉음을 내면서 회전한다. 회전하기 위한 최소 rpm만 높을 뿐이지~ rpm은 설정대로 잘 회전한다.

 

 

h300케이스, m5 미니미 케이스 후면팬에 사용 되는 팬의 rpm이 800이다. 언더바 케이스에 장착 된 후면팬이 본래 1500rpm인데, 이 팬을 (전압 조절이 되어 있는) h310보드 이상에 꼽으면 800~900rpm으로 조용하게 돈다, 800~1000rpm은 팬이 소음 없이 적당하게 회전하는 케이스 배기팬의 최적읜 rpm이다. 그래서 h300케이스나 미니타워 케이스에 사용 되는 80mm 후면팬의 50%는 rpm이 800~900 사이로 세팅 되어 있다. (미니타워는 대부분 사무용에 사용 되므로 후면 배기팬이 빨리 돌 필요 없으며, 파워도 내부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에 더욱 그러함) 즉~! 800rpm이란 것이 완전 낮은 rpm이 아니란 것이다. 헌데 4핀 팬이 설정rpm 1000부터 회전한다는 것은 특이한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cpu팬은 상당히 민감하다. 아주 낮은 rpm 설정에서도 회전한다. 이것은 인텔/amd 정품쿨러도 마찬가지고 타워쿨러도 그렇다. 알스아이팬은 돌지 않는 4핀 전원부에 rc100 rc310쿨러의 팬의 연결하면 (최대 rpm은 더 낮은 1700 모델) 800rpm 설정에서도 천천히 잘 돈다.팬의 최대 rpm과도 관계 없는 것이다. 

 

 

 

 

이렇게 팬 회전을 위한 최소 전류/pwm이 높은 팬은 장점/단점이 명확한데,

 

cpu팬은 회전하지만, 같은 pwm 수치에서 돌지 않는 알스아이팬

<장점>

1) 수명을 길게 쓸 수 있다.

2) 컴퓨터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아예 돌지 않기에 무소음이다

3) 컴퓨터 온도가 올라간 것을 눈/귀로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단점>

1) led 가 나오는 팬이면, 프로펠러는 안 도는데 led만 나오기에 보기 싫다.

2) 타워쿨러와 함께 색깔 맞춤을 했다면 타워쿨러는 도는데 상단/후면팬은 안 도니 더 보기 싫다

 

 

장점은 기능적인 부분이고, 단점은 외관적인 부분이다. 헌데 이렇게 상단/후면팬을 여러 개 장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led를 통한 데코레이션이 목적이다. 컴퓨터 배기는 rtx3070급을 달지 않는 이상 120mm 후면팬 한 개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1500rpm의 팬을 후면팬으로 사용하면 된다. 지금은 전압으로 팬속도를 지원하기에 메인보드로 연결을 하면, (파워로 연결하면 조절 안 된다는 것을 명심) cpu/그래픽카드 온도가 낮을 때는 800으로 조용히 돌다가 게임을 해서 cpu온도가 올라가면 1500으로 웅~! 하면서 돌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 열기 빼내고도 남는다. 

 

 

전면/상당팬을 장착하려는 사람은 기능적인 부분이 아니라 이렇게 인테리어 적인 부분 때문에 선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바이오스에서 사일런티 설정으로 하면 cpu온도가 낮을 때 최소 rpm이 대략 600~800정도로 설정 되기에 알스아이팬 같은 제품은 돌지를 않는다. 바이오스에서 팬속도 조절을 '메뉴얼'로 바꿔서 수동으로 조절 해줘야 한다. cpu온도가 낮아도 최소 rpm을 1000으로 돌게끔 (소음 없이 팬이 회전하는 rpm수준) 설정을 바꿔야 한다. 그래프를 움직여가면서 pwm/전압설정을 조금 올리고 내려가면서 팬이 도는 것을 확인하면 된다.

알스아이팬은 최소 회전 rpm을 대략 1000정도로 맞추니 소음 크게 없이 회전하는 최소 값이었다. 위에서 말했듯이 팬이 돌기 시작하면 설정된 rpm에 맞게끔 돌기 때문에 1000~1100rpm이면 아예 아무 소리가 나지 않는 수준은 아니다. 아주 살짝 팬이 회전한다는 느낌이 난다.  그래프를 보면 cpu온도가 30도라고 해도 (시스탬펜2 전원부) 최소 rpm 값을 1000이 조금 넘게 세팅해 놨다.

 

 

바이오스 설정이 복잡하면 역시 저항을 사용해도 된다.

저항을 사용한 연결은 파워에 직접 연결해도 되고 (위의 사진은 변환젠더를 이용하여 메인보드 4핀 연결팬을 파워 연결로 바꾸고 27옴짜리 저항을 연결해 둔 것) 똑같이 메인보드에 연결하고 바이오스 설정에서 풀rpm으로 맞추거나 높게 회전하도록 한 뒤 (복잡하게 그래프 만들지 않고, 그냥 최대 rpm 고정) 이렇게 저항을 달면 된다. 미세하게 조정은 할 수 없지만 간단한 방법이다. 메인보드/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가서 맞추는 것이 복잡하다면 사진처럼 파워에 직접 연결하면 된다. 

 

2500rpm일 때, 27옴짜리 저항을 연결하면, 1800정도로 줄어 들고, 2000rpm이면 1400정도로 줄어 들기에 팬 rpm이 꽤 있어서 "저항을 연결해도 파워랑 직접 연결하면 팬 최대 rpm으로 돌기 때문에 좀 시끄럽겠는데?" 란 생각을 할텐데... 다른 문단에서 말했듯이 전원 사이에 저항을 끼우면 그 저항 1개에 연결 된 팬의 갯수가 많아질수록 팬rpm이 팍팍 떨어진다. 팬 3개를 한 개의 저항에 연결하면 2500rpm 짜리 팬이 1000rpm까지 떨어진다. 위의 사진도 컴퓨터 주문한 여자분에게 보내기 위한 것인데, 바이오스 설정이 풀릴 것을 대비하여 저렇게 파워랑 직접 연결 할 수 있는 젠더를 넣어줬다. 당연히 확인 했다. 2500rpm 가까이 되는 알스아이팬 3개 모두 저항 한 개에  물리니 거의 1000rpm 초반대로 뚝 떨어졌다.

 

저항 없이 하나의 선을 멀티로 나누어서 (가정용 멀티콘센트처럼) 팬을 연결하면 10개를 연결해도 rpm 안 떨어진다고 했다. 얇은 전선이라도(내부 구리심도 적음) 팬은 사용하는 전류량이 아주 적기 때문에 팬 10개 충분히 감당하고도 남는다. 선 뜨거워지지도 않는다. 위 사진의 변환선 검은색쪽 부분은 선이 얇다. 저런 선에 팬 10개 달아도 rpm 1도 안 떨어진다. 하지만 저항은 이야기가 다르다. 저항은 팬이 2개 3개만 연결 되어도 rpm이 팍팍 떨어진다. 이 부분 역시 따로 설명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